네트워크 (14) 썸네일형 리스트형 모두의 네트워크 - 물리 계층 (2) 케이블의 종류와 구조, 리피터와 허브 포스팅은 모두의 네트워크에 기반하여 작성되었습니다. 네트워크 전송 매체의 종류에는 유선과 무선이 있습니다. 이번에는 유선 전송 매체로 사용되는 네트워크 케이블 커넥터에 대해 알아봅시다. 목차 1. 케이블의 종류와 구조 2.리피터와 허브 케이블의 종류와 구조 다양한 케이블의 종류가 있지만 컴퓨터와 컴퓨터를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케이블은 크로스 케이블입니다. 크로스 케이블은 아래와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8개의 구리선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실제로 사용하는 선은 4개입니다. 그리고 연결되는 전선을 중간에 교차시켜는 특징이 있습니다. 1번은 3번과 2번은 6번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양측의 컴퓨터가 데이터를 보낼 때 데이터 송수신의 충돌을 막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수신과 송신을 모두 1.. 모두의 네트워크 - 물리 계층 (1) 물리 계층의 역할과 랜 카드의 구조 포스팅은 모두의 네트워크에 기반하여 작성되었습니다. 물리 계층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필요하다.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0과 1로 이루어진 비트열을 아래의 디지털 신호(전기 신호)처럼 변환해서 전송해야 한다. 송신측에서 위와 같이 10110100101을 전송하기 위해 전기 신호로 변경한다. 수신측은 전기 신호를 받고 이를 다시 0과1로 이루어진 비트열로 복원한다. 랜 카드 0과1로 이루어진 비트열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랜 카드가 사용됩니다. 물리 계층은 컴퓨터와 네트워크 장비를 연결하고 컴퓨터와 네트워크 장비 간에 전송되는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계층입니다. 모두의 네트워크 - VPN 포스팅은 모두의 네트워크에 기반하여 작성되었습니다. 목차 1. VPN VPN Virtual Private Network(가상 사설망)의 약어입니다. 가상 통신 터널을 만들어 기업 본사나 지사와 같은 거점 간을 연결하여 통신하거나 외부에서 인터넷으로 사내에 접속하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서울에 본사가 있고 부산에 지사가 있으면 본사 내부 랜에서 지사 내부 랜에 접속해 통신하는 것은 물리적인 거리가 멀어 어렵습니다. 이럴 때는 VPN을 사용하여 본사와 지사를 연결하여 통신할 수 있습니다. VPN은 크게 인터넷 VPN과 IP-VPN 두 종류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인터넷 VPN 인터넷 VPN에는 거점 간 접속과 원격 접속 연결이 있습니다. 둘 다 일반 인터넷망을 사용합니다. 거점 간 접속은 IPsec이라는.. 모두의 네트워크 - OSI 모델과 TCP/IP 모델 포스팅은 모두의 네트워크에 기반하여 작성되었습니다. 네트워크에서는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통신 규격이 정해져 있습니다. 통신 규격에 대해 알아봅시다. 목차 1. OSI 모델 2. TCP/IP 모델 OSI 모델 컴퓨터에서 컴퓨터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데이터의 송수신이라고 합니다. 이때 컴퓨터 내부에서는 여러 가지 일을 하는데, 이런 일을 7개 계층으로 나눠서 합니다. 그 일곱 개 계층이 바로 OSI모델입니다. OSI 모델은 ISO(국제 표준화 기구)에서 지정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표준이라고 합니다. 통신할 때는 송신측에서 데이터를 보내기 위해 맨 위 응용 계층에서 순차적으로 아래 계층으로 전달합니다. 이후 수신 측은 하위 계층에서 상위 계층으로 데이터를 전달합니다. 참고로 각 계층은 독립적이기 떄문에.. 전송계층 TCP/UDP 목차 전송 계층 TCP UDP 전송 계층 : 목적지에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를 전달 네트워크 - 전송 계층의 역할 포스팅을 한 적이 있었다. 전송 계층의 역할에 대해서만 알고 싶다면 이 글을 참고하는게 더 좋을 것 같다. 물리 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 네트워크 계층의 3계층이 있으면 목적지에 데이터를 보낼 수 있다. 하지만 데이터가 손상, 유실되더라도 위 3계층에서는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는다. 전송 계층이 필요한 이유는 이 때문이다. 전송 계층은 목적지에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존재한다. 전송 계층의 기능 1. 오류 점검 2. 전송된 데이터의 목적지가 어떤 애플리케이션인지 식별하는 기능 오류 점검은 오류가 발생하면 데이터를 재전송한다. 이를 통해 데이터의 손상, 유실을 막는다. 어떤.. 네트워크 - 전송 계층의 역할 들어가기 앞서, 라우터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가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게 합니다. 더 정확히 라우터는 해당 목적지까지 어떤 경로로 가는 것이 좋은지를 알려줍니다. IP주소는 어떤 네트워크의 어떤 컴퓨터인지를 식별할 수 있는 값이다. 물리 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 네트워크 계층 3계층만 있으면 목적지에 데이터를 보낼 수 있다. 하지만 데이터가 손상되거나 유실되더라도 이들 계층에서는 어떤 것을 해줄 수 없다. 목적지에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 전송 계층이다. 전송 계층의 역할은 한 가지가 더 있다. 전송된 데이터의 목적지가 어떤 에플리케이션인지 식별하는 기능이다. TCP 연결형 통신이다. 여러 계층와 마찬가지로 송신할 때 헤더 캡슐화 수신할 때 헤더 역캡슐화를 진행한..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