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7) 썸네일형 리스트형 AWS API Gateway 생활 코딩님의 Amazon API Gateway 영상을 토대로 작성한 포스팅입니다. 하지만 개인적인 생각이 담겨 있어서 정확하지 않은 내용이 포함될 수 있는 점 감안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목차 1. API Gateway에 대한 개인적 오해 2. 가볍게 HTTP API Gateway 실습해보기 3. 개인적인 목표 API Gateway에 대한 개인적 오해 그림으로 배우는 HTTP & Network Basic 책에서는 통신을 중계하는 프록시, 게이트웨이 등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는데요. 생활코딩님의 영상을 보기 전까지는 API Gateway가 일반적으로 말하는 게이트웨이와 동일한 개념인줄 알았습니다. 책에서는 게이트웨이를 아래와 같이 설명합니다. 게이트웨이는 네트워크에서 두 개 이상의 다른 네트워크 간의 .. VPC (2) 퍼블릭 서브넷 VPC 구성 및 검증 목차 1. 퍼블릭 서브넷 VPC 구성 2. 외부와 통신이 가능한지 검증 퍼블릭 서브넷 VPC 구성 먼저 퍼블릭 서브넷 VPC를 구성하기 위해 토대가 되는 VPC를 생성해보도록 하겠습니다. AWS에서는 리전별로 기본 VPC를 구성합니다. 이름 태그는 기본 VPC와 커스텀 VPC를 쉽게 구분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 IPv4 CIDR 블록을 지정해줍시다. 여기서 CIDR이란 Classless Inter-Domain Routing인데요. IPv4는 A, B, C 클래스로 나뉘는데 말 그대로 Classless 한 IP 주소 체계를 의미합니다. IP 뒤에 프리픽스 표기법을 적습니다. 프리픽스 표기법이란 서브넷과 관련있는 용어인데요. 궁금하신 분들은 서브넷과 라우팅 포스팅을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VP.. VPC (1) 정의와 특징 및 구성요소 이 포스팅은 따라하며 배우는 AWS 네트워크 입문에 기반하여 작성하였습니다. 목차 1. VPC 정의와 종류 2. VPC 리소스 - 서브넷 - 가상 라우터/라우팅 테이블 - 인터넷 게이트웨이 - 보안 그룹/네트워크 ACL VPC 정의와 종류 VPC란, Virtual Private Cloud 약자로 AWS 클라우드 내 논리적으로 독립된 섹션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정의한 가상 네트워크상에서 다양한 AWS 리소스를 실행할 수 있게 지원합니다. VPC를 구성하면 IP 대역, 인터페이스, 서브넷, 라우팅 테이블, 인터넷 게이트웨이, 보안 그룹, 네트워크 ACL 등을 생성하고 제어할 수 있습니다. VPC는 사용자의 관여에 따라 기본 VPC(default VPC)와 사용자 VPC로 나눌 수 있습니다. 기본 VPC 는 .. ALB (2) 경로 기반 라우팅 설정 이 포스팅은 따라하며 배우는 AWS 네트워크 입문에 기반하여 작성하였습니다. 특정 인스턴스에만 존재하는 엔드포인트가 있다면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부하를 분산할 경우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리스너 규칙을 변경해야 합니다. 우선 로드 밸런서에 타겟 그룹을 분리합시다. dev-group은 dev/* 엔드포인트, mgt-group은 mgt/* 엔드포인트를 가지고 있습니다. 다음으로 로드 밸런스 - 리스너로 가서 규칙을 편집합니다. 앤드포인트와 부하를 전달 받을 타겟을 설정했습니다. 이제 테스트 해봅시다. mgt 로 끝나는 요청을 지속적으로 보내도 경로 기반 라우팅 규칙을 설정했기 때문에 부하를 제대로 받고 있습니다. ALB (1) 일단 해보기 이 포스팅은 따라하며 배우는 AWS 네트워크 입문에 기반하여 작성하였습니다. ALB는 ELB에서 제공하는 로드밸런서 중 하나입니다. HTTP, HTTPS 프로토콜을 받는데 활용할 수 있습니다. 로드밸런서를 사용하는 이유는 간단합니다. 트래픽이 몰렸을 때 부하를 분산하기 위함입니다. 인스턴스 자체의 스펙을 높이는 scale-up 방법도 있지만 인스턴스 자체를 늘리는 scale-out에서는 로드밸런서가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먼저 CloudFormation 구성을 위해 http://bit.ly/cnbl0501 에서 yaml 형식의 템플릿을 다운로드 받아줍니다. 다운을 받아 코드를 살펴보면 EC2, VPC 등 다양한 리소스 설정을 해놓았습니다. 참고로 Cloud Formation는 EC2 리소스의 생성 및 파.. AWS - lambda 포스팅은 업무에 바로 쓰이는 AWS 입문 책을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목차 1. 서버리스 2. Lambda 서버리스란? 처음 서버리스라는 단어를 들었을 때 서버가 없는 것인줄 알았는데요 서버가 없다는 뜻은 아닙니다. 서버리스는 클라우드에서 AWS 리소스를 돌릴 때 개발자가 직접 간섭할 필요가 없고 개발자가 구현한 애플리케이션을 클라우드에서 돌릴 수 있게 도와주는 클라우드 기반 개발 모델입니다. 정리하면 서버리스는 리소스를 자동으로 관리합니다. 예를 들면 EC2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네트워크 트래픽에 따라 오토스케일링을 적용하는 등의 작업이 필요가 없습니다. 개발자는 단순히 코드를 짜고 구현하는 부분에만 집중하면 됩니다. 서버리스의 장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오토스케일링 오토스케일링은 네트워크 트래.. AWS - S3 포스팅은 업무에 바로 쓰이는 AWS 입문 책을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목차 S3란? S3 오브젝트 구성 요소 이해하기 S3 버킷 스토리지 유형 S3 요금 S3 버킷 생서 시 알고 있어야 하는 것들 암호화를 통해 안전을 지키자 S3란? S3는 AWS의 메인 스토리지입니다. S3는 매우 안전하고 가변적인오브젝트 저장 공간을 제공합니다. 이로 인해 S3는 스토리지 공간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AWS 자체에서 보안을 신경 쓰기 때문에 사용자는 마음 편히 오브젝트를 업로드/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S3는 오브젝트 저장 공간을 제공하기 때문에 RDS와 다르게 비정형화 데이터(사진, 동영상, 스프레드시트 등)를 다룰 수 있습니다. 그러나 하드디스크처럼 부팅 용도로 사용할 수는 없습니다. S3에 ..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