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팅은 모두의 네트워크에 기반하여 작성되었습니다.
목차
1. 서브넷
2. 라우터
서브넷
서브넷은 네트워크를 분할하는데 사용됩니다.모두의 네트워크 - 네트워크 계층 (2) IP에서는 IP 주소는 A, B, C 클래스로 나눌 수 있다고 했습니다. 네트워크 ID가 8비트인 A 클래스의 경우 IP 주소를 약 1700만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많은 수의 컴퓨터가 브로드캐스트(네트워크 내 존재하는 모든 컴퓨터) 패킷을 전송하면 네트워크가 혼잡해질 것입니다.
서브넷팅을 통해 네트워크를 분할하여 브로드캐스트로 전송되는 패킷의 범위를 좁힐 수 있습니다. 그리고 분할된 네트워크를 서브넷이라고 부릅니다.
서브넷팅은 아래와 같이 기존에 사용되던 호스트ID를 빌려 서브넷ID로 만들어 진행합니다.
서브넷 마스크
IP 주소를 서브넷팅하면 어디까지가 네트워크 ID고 어디부터가 호스트 ID인지 판단하기 어려울 때가 있습니다. 그럴 때는 서브넷 마스크 값을 사용합니다.
서브넷 마스크는 프리픽스 표기법으로 표현될 때가 많고 슬래시(/)비트로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C클래스 IP라면 네트워크 ID 24비트, 서브넷 ID 0비트이므로 /24로 나타냅니다.
위 그림 5-29 A 클래스를 서브넷팅한 클래스의 경우네는 네트워크 ID 8비트, 서브넷 ID 10비트 이므로 /18로 표현됩니다.
라우터
네트워크 계층에서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가 통신해야 합니다. 스위치는 네트워크를 분리할 수 있는 능력이 없습니다. 이때 사용하는 네트워크가 장비가 라우터입니다.
라우터를 통해 분리된 네트워크가 있을 때 한 컴퓨터가 다른 네트워크에 데이터를 전송하려면 어떡해야 할까요?
컴퓨터 1은 우선 라우터의 IP 주소를 설정해야 합니다. 이것은 네트워크의 출입구를 설정하는 것을 의미하고 기본 게이트웨이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라우터 IP 주소를 지정해야 하는 이유는 한 네트워크 내 컴퓨터는 다른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보낼 때 어디로 전송해야 하는지 알지 못합니다. 그래서 네트워크의 출입구를 지정해 일단은 라우터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라우팅
라우터 IP 주소를 설정하는 것만으로는 다른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보낼 수 없습니다. 라우팅이라는 것을 해야합니다. 라우팅은 경로 정보를 기반으로 현재 네트워크에서 다른 네트워크로 최적의 경로를 통해 전송하도록 합니다. 경로 정보가 등록되어 있는 테이블을 라우팅 테이블이라고 합니다.
각 라우터의 라우팅 테이블에 경로 정보가 등록되어 있기 때문에 라우팅이 가능합니다.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두의 네트워크 - 전송 계층 (2) 일련번호와 확인 응답 번호, 포트 번호 (0) | 2023.05.22 |
---|---|
모두의 네트워크 - 전송 계층 (1) 전송 계층의 역할 및 TCP와 3-way 핸드셰이크 (0) | 2023.05.22 |
모두의 네트워크 - 네트워크 계층 (2) IP (1) | 2023.05.21 |
모두의 네트워크 - 네트워크 계층 (1) 네트워크 간의 연결 구조 (0) | 2023.05.18 |
모두의 네트워크 - 데이터 링크 계층 (2) 스위치의 구조와 ARP (0) | 2023.05.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