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팅은 모두의 네트워크에 기반하여 작성되었습니다. 전 세계에 수 많은 네트워크가 있고 그 네트워크들은 서로 연결되어 거대한 인터넷을 이루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네트워크 간의 연결에 대해 정리하겠습니다.
목차
1. 네트워크 간의 연결 구조
네트워크 간의 연결 구조
앞서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는 이더넷 규칙을 기반으로 데이터를 전송하였습니다. 이 규칙에 따라 같은 네트워크에 있는 컴퓨터로는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지만 인터넷, 다른 네트워크로는 데이터를 전송할 수 없습니다.
네트워크 계층은 하나의 네트워크가 아닌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연결해서 통신할 수 있도록 합니다. 다른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전송하려면 라우터라는 네트워크 장비가 필요합니다. 라우터는 목적지가 정해지면 해당 목적지까지 어떤 경로로 가는 것이 좋은지 알려 주는 기능을 합니다.
네트워크 내에서 통신할 때 MAC 주소가 있어야 목적지를 알 수 있듯이 서로 다른 네트워크에서는 IP 주소를 알고 있어야 데이터를 보낼 수 있습니다. IP는 어떤 네트워크의 어떤 컴퓨터인지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주소입니다.
IP 주소로 목적지를 지정하는 것뿐만 아니라 데이터를 어떤 경로로 보낼지도 결정해야 합니다. 이것을 라우팅이라고 합니다.
네트워크 계층에서는 캡슐화할 때 IP 헤더를 붙이고 아래와 같이 Option, Data를 제외하고 총 12가지 속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렇게 데이터에 IP 헤더를 붙여 만들어진 데이터를 IP 패킷이라고 합니다.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프레임을 만들었다면 네트워크 계층에서는 IP 패킷을 만든다고 보시면 됩니다.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두의 네트워크 - 네트워크 계층 (3) 서브넷과 라우터 (0) | 2023.05.21 |
---|---|
모두의 네트워크 - 네트워크 계층 (2) IP (1) | 2023.05.21 |
모두의 네트워크 - 데이터 링크 계층 (2) 스위치의 구조와 ARP (0) | 2023.05.17 |
모두의 네트워크 - 데이터 링크 계층 (1) 데이터 링크 계층 역할과 이더넷 (0) | 2023.05.17 |
모두의 네트워크 - 물리 계층 (2) 케이블의 종류와 구조, 리피터와 허브 (0) | 2023.05.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