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니터링 프로그램은 많겠지만 redis-cli를 이용해서 간단하게 Redis 서버의 자원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docker exec -it {container id} redis-cli --stat
현재 레디스 키, 사용중인 메모리, 커넥션 등 간단 지표를 사용할 수 있다.
docker exec -it {container id} redis-cli MONITOR
Cli에 들어가서 아래 명렁어를 입력하면 memory 관련 지표를 모두 볼 수 있다.
info memory
used_memory_human 이 사용중인 메모리 total_system_memory_human 은 레디스 서버 전체의 메모리라고 추측된다. docker에서 redis 기본 이미지를 띄워서 그런지 용량이 엄청나게 크다. ElasticCache에서 8G 정도 되는 redis를 사용하려면 돈을 엄청나게 내야했던걸로 기억한다.
이외에도 https://redis.io/docs/ui/cli/ 를 참고하면 다양한 모니터링 명령어를 활용할 수 있다. 다만 내가 원하는 사용률을 계산해주는 명령어는 없는듯하다... (훑어봐서 그런걸지도 ㅎㅎ)
이 외에도 GUI 환경에서 주요 지표들을 확인할 수도 있다. 로컬에서 도커를 사용한다면 아래 명령어를 통해 컨테이너를 실행하면 된다.
docker run --name redis-stat --link [your redis container id]:redis -p [host port]:63790 -d insready/redis-stat --server redis
아래와 같이 관련 지표들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내가 가장 보고싶은 사용률은 없다.. 흑..
그라나파에 있는 redis 관련 대시보드에서도 딱히 사용률을 보여주는 지표는 없어보인다. 대신 total_system_memory_human 지표를 보여주고 있다. 지금은 딱히 필요하지 않으니 redis-stat을 사용하면서 토이 프로젝트를 진행해야 겠다.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dis 테스트 환경 구축 및 마주했던 문제들 (0) | 2023.06.25 |
---|---|
@TransactionalEventListener (0) | 2023.06.22 |
Spring Data Redis (2) 시작하기 (0) | 2023.06.11 |
spring cache (2) 테스트 케이스 작성하기 CacheManager 활용 (0) | 2023.06.02 |
spring cache (1) 스프링 캐시 컨셉 이해하기 (0) | 2023.06.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