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다운 : https://hub.docker.com/
도커 CLI reference : https://docs.docker.com/engine/reference/commandline/cli/
설치를 마쳤다는 하에 이미지를 다운로드 해보겠다.
이미지 다운로드
docker pull [OPTIONS] NAME[:TAG|@DIGEST]
다운받은 이미지 보기
docker images
컨테이너 생성 및 실행
docker run [OPTIONS] IMAGE [COMMAND] [ARG...]
컨테이너 실행
docker start [OPTIONS] CONTAINER [CONTAINER...]
컨테이너를 삭제하거나 현재 실행중인 컨테이너를 보는 명령어는 리눅스 명령어를 알고 있으면 쉽게 사용할 수 있다.
-a 옵션을 주면 현재 실행중이지 않은 컨테이너도 볼 수 있다.
포트포워딩
도커가 설치된 컴퓨터라고 해야하나... 음 하여튼 컴퓨터에는 호스트가 생긴다. 그리고 호스트 내부에는 여러 컨테이너를 만들 수 있다. 호스트와 컨테이너는 모두 포트를 가지고 있다. 이 둘을 연결해야 하는데 이때 필요한 것이 포트포워딩이다. 포트포워딩은 쉽게 포트를 연결하는 것이다. (자세한 내용은 네트워크를...)
docker run -p {호스트 포트}:{컨테이너 포트}
이런 식으로 포트포워딩을 한다.
나는 로컬 환경에 도커를 설치했기 때문에 브라우저에 localhost:8080 요청을 보내면 응답할 것입니다.
그 외 명령어는 도커 docs를 그때 그때 확인해서 필요하다 싶으면 기록하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