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이 안와서... 그리고 프로젝트에 CI/CD가 필요해서 이 참에 사용해보려고 합니다. 오늘은 설치만 해보겠습니다.
목차
1. 설치
설치
저는 EC2 t2.micro(1G RAM/16G 스토리지) ubuntu 운영체제를 기준으로 설치했습니다. 설치 방법은 Installing Jenkins 문서를 그대로 따라하면 됩니다.
설명서를 보면 요구 사항들이 있습니다.
하드웨어 최소 스펙
- 256 MB of RAM
- 1 GB of drive space (although 10 GB is a recommended minimum if running Jenkins as a Docker container)
소프트웨어 요구 사항
- Java
Jenkins 가 자바로 되어 있어서 설치가 필요하다고 하네요. LTS를 사용할 예정인데 Java 11 or 17을 설치하라고 합니다.
이제 본격적으로 설치를 해봅시다.
(1) 시스템 패키지를 최신화 합니다.
sudo apt update
sudo apt upgrade
(2) 자바 11 설치
sudo apt install openjdk-17-jdk
(3) 젠킨스 설치
curl -fsSL https://pkg.jenkins.io/debian-stable/jenkins.io-2023.key | sudo tee \
/usr/share/keyrings/jenkins-keyring.asc > /dev/null
echo deb [signed-by=/usr/share/keyrings/jenkins-keyring.asc] \
https://pkg.jenkins.io/debian-stable binary/ | sudo tee \
/etc/apt/sources.list.d/jenkins.list > /dev/null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install jenkins
여기까지 진행을 마치면 젠킨스 설치가 완료됩니다.
(4) 젠킨스 실행
sudo systemctl start jenkins
실행후에 서버에 접속하면 됩니다. 기본 포트는 8080입니다. 혹여나 젠킨스가 실행됏는지 확인하려면 아래 명령어를 사용하면 됩니다.
sudo systemctl status jenkins
실행중이라면 아래와 같이 active(running) 이라고 나옵니다. 모자이크된 부분은 젠킨스 접속을 위한 비밀번호입니다.
이제 브라우저를 켜고 서버에 접속해서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설치를 진행합시다. 설치가 완료되면 환영 인사를 볼 수 있습니다.
'Jenkins' 카테고리의 다른 글
Jenkins - Pipeline (2) 파이프라인 구축 시 만났던 문제들 (1) | 2023.05.10 |
---|---|
Jenkins - Pipeline (1) 파이프라인 만들어보기 (0) | 2023.05.09 |
Jenkins - t2.micro 로 젠킨스 서버를 돌리기에는 무리일까? 삽질주의 (0) | 2023.05.09 |
Jenkins - swap memory로 OOM 방지하기 (0) | 2023.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