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eb 환경에서 서버 로그를 보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로그를 보고 싶은 인스턴스 클릭 - 연결 버튼 클릭
2. EC2 인스턴스 연결을 누르고 SSH 클라이언트 탭 클릭
3. 하단 모자이크 처리된 예, 복사 버튼 클릭
ssh -i {pem-key} root@{ec2 ip}.ap-northeast-2.compute.amazonaws.com 이런식으로 되어있을 텐데요.
root 를 ec2-user 로 변경합니다. 그리고 git bash를 켜고 서버로 접속합니다.
4. 접근해야할 곳 확인
우리가 접근할 곳은 var/log/web.stdout.log 입니다.
EB 로그 탭에서 로그 파일을 다운로드하면 web.stdout.log에 로그가 쌓이는걸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5. 접속
위 로그를 접속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sql 로그와 토큰이 만료됐다는 로그가 보이는 군요.
접속을 위해 필요한 명령어만 따로 남기겠습니다.
sudo -i # 루트 권한
cd .. # 상위 디렉토리로 이동
cd var/log # var/log 디렉토리로 이동
tail -f web.stdout.log # 파일의 마지막 행을 기준으로 실시간(-f 옵션)으로 출력
'항해99'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해99 47일차 TIL1 - API 개발 시 엔티티 대신 DTO를 노출시켜라. (0) | 2023.02.01 |
---|---|
항해99 45일차 TIL1 - 테스트 환경 데이터베이스 만들기 (0) | 2023.01.30 |
항해99 43일차 TIL1 - GitHub Action - EB 배포 오류 수정기2 (0) | 2023.01.28 |
항해99 42일차 TIL1 - GitHub Action - EB 배포 오류 수정기 (1) | 2023.01.27 |
항해99 설 연휴 스터디 - AWS ELB 구축하기 (0) | 2023.01.24 |